항공소식


전투기70대 동시 작전 모든 종류의 위협 극복 전투력, 벽을 넘다

비행연구원
2023-06-19
조회수 54

레드플래그 알래스카(RFA·Red Flag Alaska)는 전구급 규모의 다국적 연합 공중전투훈련이다. 우리나라는 2013년 F-15K 전투기 6대가 태평양을 논스톱으로 횡단해 참가한 것을 비롯해 전투기·수송기를 투입하고 있다. 올해는 KC-330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까지 포함됐다. 이는 우리 공군의 작전 수행능력을 한층 끌어올리는 계기가 됐다. RFA에 참가해야 하는 이유와 훈련의 종류, 임무 수행 과정 등을 알아본다.

알래스카에서 글=이주형 기자/사진=공군 제공


어떤 의미의 훈련인가?
세계 최고 다국적 연합 공중전투훈련

RFA는 세계 최고의 다국적 연합 공중전투훈련이다. 참가자들은 홍군과 청군으로 나눠 훈련에 임한다. 중립적 통제기관 역할을 하는 백군도 있다.

홍군은 354전투비행단 18대대와 353대대가 공대공 전투기, 지상관제요격, 지대공 방어전력을 포함한 적군의 잠재 위협을 모사해 준다. 이번 훈련에서는 한국군도 홍군에 포함돼 4소티(Sortie·비행 횟수) 정도의 임무를 수행한다. 청군에는 미국·한국 등 연합전술군 및 지원부대로 구성됐다.

훈련은 알래스카에 있는 태평양합동훈련장(JPARC·Joint Pacific Alaskan Range Complex) 공역에서 이뤄진다. 공역은 대한민국 크기의 1.2배에 달할 정도로 방대하다. 대부분의 RFA 훈련 참가 부대는 실제 연습 1주일 전에 아일슨 공군기지에 도착, 1~2회의 현지적응 훈련으로 신체적·정신적 준비와 함께 비행 제한사항을 파악한다.

본 훈련이 진행되는 2주 동안 조종사들은 모든 종류의 전투 위협에 노출된다. 훈련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는 70여 대의 전투기가 같은 공역에서 함께 작전을 수행하기도 한다.

RFA 훈련에서는 조종사뿐만 아니라 정비·지휘통제 요원 등도 다양한 작전·훈련 환경을 경험하게 된다. 이를 토대로 상호운용성을 향상하며, 미국과 파트너 국가 군대가 미래에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전술·절차를 공유한다.

아울러 RFA 훈련에서는 전 세계에 존재하는 공통 위협에 대한 모의전투 상황을 제공함으로써 실제 전투에서 발생 가능한 ‘어려운 결정’을 경험할 수 있다.


'최적의 방안 찾기' 어떻게 하나?
①사전 임무계획 ②매스브리핑 ③디브리핑

비행 전 매스브리핑에서 최정규 대위가 임무를 발표하고 있다.비행 전 매스브리핑에서 최정규 대위가 임무를 발표하고 있다.


RFA 훈련 시나리오는 매일 달라진다. 그에 맞춰 주어진 임무를 완수하는 것은 모든 작전 요원의 목표다. 그렇기에 요원들은 머리를 맞대고 최적의 방안을 찾기에 여념이 없다. 그 과정은 3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사전 임무계획 단계다. 임무 수행 전날 열리는 이 단계는 기초적인 구분부터 세부 계획, 질문·답변 등 총 5단계의 절차를 거친다. 세부 임무를 누가 담당할 것인지, 가상 적국은 어떤 상황인지, 우리는 어떤 방식을 취했으면 좋은지, 궁금한 사항의 질의응답으로 실행 계획을 완성해 가는 것이 사전 임무계획 단계다.

두 번째는 매스브리핑으로 당일 오전 일찍 이뤄진다. 작전 참가 요원을 대상으로 전날 만든 계획의 정리된 내용을 발표하는 것이다.

임무 수행이 끝난 후에는 디브리핑에서 어떤 점이 잘됐고, 어떤 점이 부족했는지 피드백을 나눈다. 이와 같은 3단계 회의는 RFA 훈련간 매일 반복된다.


어떤 작전들이 전개되나?
항공차단·공세제공 등 크게 4가지 구분

매일 달라지는 게 RFA 훈련이라지만 큰 틀 속에서 흐름은 일정하다. 먼저 제공권을 확보하고 목표 지역을 장악한 뒤 그 지역에 대한 적의 공중침투를 막는 것이다. 이 흐름 속에 실행하는 RFA 작전은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작전은 이렇듯 크게 4개의 종류 안에서 이뤄지지만 세부 계획으로 가면 또 달라진다. 각각의 시나리오에 따라 공대지, 공대공, 방어, 대공제압작전(SEAD·Suppression of Enemy Air Defense operation), 호위(Escort)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① 항공차단작전(AI·Air Interdiction Operation)

적의 군사 전력이 아군의 지·해상 군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전에 이를 교란, 지연, 파괴함으로써 전투지역 내 적을 고립시키는 임무다. 항공차단작전의 전형적인 표적으로는 적 지·해상 군의 후속 공격 전력 및 집결지, 지휘 및 통제체제, 병참선, 전투물자 보급원 등이 있다.

② 공세제공작전(OCA·Offensive Couter Air Operation)

공중 우세를 확보하기 위해 적 지역에 항공력을 운용해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다. 공대공 작전과 공대지 작전으로 분류된다. 적 후방의 지휘·경보시설 등 중요 가치 표적 타격, 적 주력 항공기 격추 등의 임무가 있다.

③ 근접항공지원(CAS·Close Air Support)

항공 자산을 이용해 지상군을 직접 지원하는 작전. 아군 부대에 근접한 표적에 대한 사격 및 기동을 지상군과 긴밀히 협조한다. 이번 RFA 훈련에는 우리 합동최종공격통제관(JTAC·Joint Terminal Attack Controller)도 참여했다.

④ 방어제공작전(DCA·Deffensive Couter Air Operation)

아군에 대한 적의 공격 시도나 침투하는 적 전투기 등을 가능한 멀리에서 탐지·요격하는 임무다. 이를 위해 지상의 관제요원과 방공포병, 전투기들이 유기적으로 작전을 펼친다.

출처; 국방일보

0 0